본문 바로가기
파이썬 공부하기!!

[파이썬 while문 기초] 마지막에 코드 한줄 더 왜 써야 할까? 무한루프를 막는 핵심 원리!

by happymind12 2025. 7. 11.
반응형

[파이썬 while문 기초] i += 1은 왜 꼭 써야 할까? 무한루프를 막는 핵심 원리!

저번에 while을 공부하며 궁금한게 생겼었는데 아래 예시 코드에서 마지막에 왜 i += 1이 있냐는 거였어요. 

i += 1

이게 뭐지? 왜 꼭 써야 하지?
사실 이 한 줄이 없으면 무한 반복(무한 루프)이 생겨서 컴퓨터가 멈추지 않게 돼요 😱

 

📌 i += 1의 뜻

i += 1

이건 사실 아래 코드랑 똑같아요:

i = i + 1

👉 즉, i에 1을 더한 값을 다시 i에 저장하라는 뜻입니다.

🔁 while문에서의 역할

i = 1

while i <= 5:
    print(i)
    i += 1

실행 결과:

1
2
3
4
5

이렇게 반복하고 나면 i는 6이 되어 조건 i <= 5False가 되기 때문에 반복이 종료</strong됩니다.

❗ i += 1을 안 쓰면 어떻게 될까?

i = 1

while i <= 5:
    print(i)

결과:

1
1
1
...(무한 반복)

😱 i 값이 계속 1로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조건 i <= 5가 항상 True입니다.
결국 프로그램이 멈추지 않고 계속 반복해요 → 무한 루프

🧠 동작 흐름 요약

반복 횟수 i 값 조건 결과 출력
1 1 True 1
2 2 True 2
3 3 True 3
4 4 True 4
5 5 True 5
6 6 False 반복 종료

✅ i += 1은 꼭 기억하세요!

  • while문에서 반복 횟수를 조절하려면 i += 1 꼭 써야 함
  • 안 쓰면 조건이 영원히 True → 무한 반복 발생
  • 이건 초보자 99%가 한 번쯤 실수하는 부분이에요!

 

🎯 요약 정리

  • i += 1은 i 값을 1씩 증가시키는 코드
  • while문 안에서는 조건 종료를 위한 필수 요소
  • 없으면 무한 루프에 빠져서 프로그램이 멈추지 않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