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파이썬 공부하기!!18

[파이썬 9장] 꼭 알아야 할 내장 함수와 라이브러리 – len(), range(), random 정리! [파이썬 9장] 꼭 알아야 할 내장 함수와 라이브러리 – len(), range(), random 정리!파이썬은 정말 똑똑한 언어입니다. 우리가 직접 만들지 않아도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함수(내장 함수)들이 많아서, 초보자도 쉽게 시작할 수 있어요.이번 강의에서는 자주 쓰이는 3가지 핵심 함수와 라이브러리를 정리해볼게요. 📌 내장 함수란?파이썬이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함수로, import 없이 바로 사용할 수 있는 함수입니다.예시 함수:print() – 출력len() – 길이 계산type() – 자료형 확인sum(), max(), min() 등✅ 1. len() 함수 – 길이 측정기len()은 리스트, 문자열, 튜플 등의 요소 개수(길이)를 알려줍니다.fruits = ["apple", "banana", ".. 2025. 7. 17.
[파이썬 기초 문법] 콜론 : 은 왜 꼭 써야 할까? if문, def 함수에서 빠지면 에러나는 이유 [파이썬 기초 문법] 콜론 : 은 왜 꼭 써야 할까? if문, def 함수에서 빠지면 에러나는 이유파이썬을 배우다 보면 : 콜론이 자주 등장하죠.if x > 5: print("x는 5보다 큽니다")그런데 왜 굳이 콜론을 써야 할까요?오늘은 콜론(:)의 진짜 의미와 쓰는 이유를 완전히 정리해드릴게요.✅ 파이썬에서 콜론(:)은 '블록 시작'의 표시파이썬은 중괄호 {} 대신 들여쓰기(indent)로 코드 덩어리(블록)를 구분합니다.그리고 그 블록이 시작된다는 표시로 콜론(:)을 씁니다.사용 예시:if 조건: 실행할 코드def 함수이름(): 실행할 코드 📌 콜론이 필요한 문법들문법예시설명ifif x > 0:조건이 맞을 때 실행할 블록 시작elif / elseelse:다른 조건 또는 기본 실행f.. 2025. 7. 16.
[파이썬 함수 괄호 정리] 함수() 괄호는 왜 비었는데 꼭 써야 할까? [파이썬 함수 괄호 정리] 함수() 괄호는 왜 비었는데 꼭 써야 할까?파이썬 함수 코드를 보면 자주 등장하는 게 바로 함수이름()처럼 생긴 괄호입니다.그런데 괄호 안에 아무것도 없는데도 왜 꼭 써야 할까요?이번 글에서는 이 “빈 괄호의 비밀”을 파헤쳐 보겠습니다.✅ 함수에서 괄호는 ‘실행’을 의미합니다def greet_adult(): print("안녕하세요, 어른입니다!")greet_adult() # ← 괄호를 붙이면 실행됩니다➡ 괄호가 있다는 건 “지금 이 함수 실행해줘!” 라는 뜻이에요. 📌 그럼 빈 괄호는?이 함수는 외부로부터 값을 받을 필요가 없다는 의미입니다.즉, 매개변수가 없다는 뜻이지만, 괄호 자체는 꼭 있어야 해요!🎯 비교 예제✅ 매개변수 없는 함수def say_hello(): .. 2025. 7. 16.
[파이썬 연산자 기초] =와 ==의 차이는 뭘까? 나머지 %, 조건문 if까지 완벽 정리! [파이썬 연산자 기초] =와 ==의 차이는 뭘까? 나머지 %, 조건문 if까지 완벽 정리!파이썬을 배우다 보면 이런 코드 많이 보셨을 거예요.if x == 5: print("x는 5입니다")여기서 ==는 뭘까? 그리고 =랑은 뭐가 다를까요?또 %는 어떤 상황에서 쓰는 걸까요?이번 글에서는 파이썬에서 꼭 알아야 하는 연산자들을 초보자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설명드릴게요.✅ = vs == 완벽 비교기호이름의미예시=대입 연산자값을 변수에 저장x = 10==비교 연산자같은지 True/False로 비교x == 10예시:x = 10 # x에 10을 저장if x == 10: # x가 10과 같은가? print("x는 10입니다")✅ % 연산자 – 나머지를 구하는 기호print(5 % 2) #.. 2025. 7. 16.
[파이썬 조건문 + 함수 활용] 조건에 따라 함수 다르게 실행하기! 실전 예제로 배우는 def + if [파이썬 조건문 + 함수 활용] 조건에 따라 함수 다르게 실행하기! 실전 예제로 배우는 def + if이번 장에서는 파이썬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구조인조건문 if와 함수 def를 조합해서 실전처럼 써보는 방법을 배워볼게요.조건에 따라 함수를 선택해서 실행한다면? 이제 진짜 프로그램처럼 작동합니다!✅ 함수와 if 조건문을 함께 쓰는 구조def 함수이름(): 실행할 코드if 조건: 함수이름()예시 1: 나이에 따라 인사 다르게 하기def greet_adult(): print("안녕하세요, 어른입니다!")def greet_child(): print("안녕! 어린이구나!")age = 15if age >= 18: greet_adult()else: greet_child()출력 결과:.. 2025. 7. 16.
[파이썬 함수 기초] def로 나만의 명령어 만들기! 반복되는 코드를 깔끔하게 정리하는 법 [파이썬 함수 기초] def로 나만의 명령어 만들기! 반복되는 코드를 깔끔하게 정리하는 법코드를 여러 줄 써야 할 때, 같은 내용을 반복해서 입력하는 건 정말 번거롭죠.이럴 때 사용하는 게 바로 함수(function)입니다.파이썬에서 함수는 def라는 키워드를 사용해 만들고,내가 자주 쓰는 코드를 하나로 묶고 이름 붙여서 부를 수 있어요!✅ 함수란 무엇인가?함수는 "명령어 묶음에 이름을 붙여 놓은 것"이에요.필요할 때 그 이름을 부르면 함수 안에 있는 코드를 실행해줍니다. ✅ 함수 만드는 기본 구조def 함수이름(): 실행할 코드예시def say_hello(): print("안녕하세요!")호출하기say_hello() # 결과: 안녕하세요!➡ 이렇게 하면 print("안녕하세요!")를 한 줄만.. 2025. 7. 1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