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파이썬 공부하기!!

[파이썬 함수 괄호 정리] 함수() 괄호는 왜 비었는데 꼭 써야 할까?

by happymind12 2025. 7. 16.
반응형

[파이썬 함수 괄호 정리] 함수() 괄호는 왜 비었는데 꼭 써야 할까?

파이썬 함수 코드를 보면 자주 등장하는 게 바로 함수이름()처럼 생긴 괄호입니다.

그런데 괄호 안에 아무것도 없는데도 왜 꼭 써야 할까요?
이번 글에서는 이 “빈 괄호의 비밀”을 파헤쳐 보겠습니다.

✅ 함수에서 괄호는 ‘실행’을 의미합니다

def greet_adult():
    print("안녕하세요, 어른입니다!")

greet_adult()  # ← 괄호를 붙이면 실행됩니다

➡ 괄호가 있다는 건 “지금 이 함수 실행해줘!” 라는 뜻이에요.

 

📌 그럼 빈 괄호는?

이 함수는 외부로부터 값을 받을 필요가 없다는 의미입니다.

즉, 매개변수가 없다는 뜻이지만, 괄호 자체는 꼭 있어야 해요!

🎯 비교 예제

✅ 매개변수 없는 함수

def say_hello():
    print("Hello!")

say_hello()  # 괄호 비어 있음 → 실행 OK

✅ 매개변수 있는 함수

def greet(name):
    print(f"{name}님 반가워요!")

greet("지민")  # 괄호 안에 값 있음 → 실행 OK

❌ 괄호 없이 함수 실행하려고 하면?

def say_hi():
    print("hi")

say_hi  # 실행되지 않음! 그냥 함수 자체를 가리킴

➡ 괄호가 없으면 실행이 안 되고, 단지 say_hi라는 함수 객체만 불러오는 상태입니다.

🧠 초보자 실수 방지 팁

  • 괄호는 항상 붙여야 함수가 실행됩니다.
  • 비어 있다면 → “입력값은 없지만 실행은 한다”는 뜻
  • say_hi() ← 실행됨 / say_hi ← 실행 안 됨

🎯 요약 정리

  • def 함수(): → 매개변수 없는 함수 선언
  • 함수() → 이 함수 실행하라는 의미
  • 함수 → 함수 '자체'만 가리키고 실행 안 됨
  • 빈 괄호라도 꼭 써야 실행됩니다!

이 글과 함께 읽으면 좋은 글

 

[파이썬 함수 기초] def로 나만의 명령어 만들기! 반복되는 코드를 깔끔하게 정리하는 법

[파이썬 함수 기초] def로 나만의 명령어 만들기! 반복되는 코드를 깔끔하게 정리하는 법코드를 여러 줄 써야 할 때, 같은 내용을 반복해서 입력하는 건 정말 번거롭죠.이럴 때 사용하는 게 바로

wnffle.com

 

 

[파이썬 while문 기초] 마지막에 코드 한줄 더 왜 써야 할까? 무한루프를 막는 핵심 원리!

[파이썬 while문 기초] i += 1은 왜 꼭 써야 할까? 무한루프를 막는 핵심 원리!저번에 while을 공부하며 궁금한게 생겼었는데 아래 예시 코드에서 마지막에 왜 i += 1이 있냐는 거였어요. i += 1이게 뭐지

wnffle.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