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육아

아기의 정상 체온과 열의 기준, 열이 날때 증상

by happymind12 2025. 3. 22.
반응형

아기의 정상 체온과 열의 기준, 열이 날때 증상

오늘따라 아기 몸이 뜨겁고, 머리도 따끈따끈한 것 같아서 체온을 재봤어요. 98.8°F(37.1°C)로 평소보다 살짝 높은 편이더라고요. 미열일까 싶기도 하고, 혹시 내가 걸린 감기가 옮았나 걱정도 돼요. 다행히 딱히 다른 증상은 없는 것 같긴 한데, 아기 열이 날 때 어떻게 해야 할지 고민이 되네요.

1살 미만 아기의 열에 대해 정리해 보았어요. 미열인지, 감기의 초기 증상인지, 언제 병원에 가야 하는지까지 한 번에 확인할 수 있도록 준비했어요!

1. 아기의 정상 체온과 열의 기준

아기의 정상 체온은 일반적으로 97.5~99.5°F(36.4~37.5°C) 범위예요. 체온에 따라 분류하면 다음과 같아요:

  • 정상 체온: 97.5~99.5°F (36.4~37.5°C)
  • 미미열 (Low-grade fever): 99.6~100.3°F (37.6~37.9°C)
  • 발열 (Fever): 100.4°F (38°C) 이상
  • 고열 (High fever): 102°F (38.9°C) 이상

98.8°F(37.1°C)는 정상 범위지만, 저는 평소보다 높게 느껴졌어요. 특히 아기 머리가 뜨겁게 느껴질 때는 걱정이 되죠. 하지만 열만 있고 다른 이상 증상이 없다면 지켜보면서 수분을 충분히 섭취하게 해주면 돼요.

2. 아기가 열이 날 때 나타나는 증상

열이 날 때 아기에게 다음과 같은 증상이 나타날 수 있어요:

  • 손발이 뜨겁고 몸이 후끈거림

아이가 열이 날 때 손발이 차가울 수 있어요. 특히 열이 오르는 초기 단계에서는 몸 중심부(이마, 목 뒤, 가슴)는 뜨거운데 손과 발은 차가운 경우가 흔해요. 이는 체온이 급격히 상승하면서 말초혈관이 수축하여 열이 몸 중심으로 몰리기 때문이에요.

  • 머리만 유독 뜨거운 느낌
  • 평소보다 칭얼거리거나 보채는 모습
  • 잠을 잘 못 자고 자꾸 깨는 경우
  • 식욕이 줄어들거나 모유/분유를 덜 먹음
  • 피부가 붉어지거나 땀이 많아짐
  • 활동량이 줄고 축 처지는 경우

이런 증상은 감기 초기에도 나타날 수 있어요. 특히 감기에 걸리면 다음과 같은 증상이 추가될 수도 있어요:

  • 콧물이 나기 시작함
  • 기침이나 재채기가 많아짐
  • 목소리가 평소보다 잠김
  • 코막힘으로 인해 숨쉬기 불편해 보임

3. 아기 열이 날 때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

🔹1) 수분 보충이 가장 중요해요!

열이 나면 수분이 더 빨리 빠져나가요. 아기가 탈수되지 않도록 모유, 분유, 미지근한 물(생후 6개월 이상)을 충분히 먹이는 것이 중요해요.

🔹2) 가벼운 옷을 입혀주세요

두꺼운 옷을 입히면 체온이 더 올라갈 수 있어요. 통기성이 좋은 가벼운 옷을 입히고, 너무 덥지 않도록 실내 온도를 조절하는 게 좋아요.

🔹3) 미지근한 물로 몸을 닦아주세요

고열이 아니라면 미지근한 물(약 30~32°C)로 적신 수건으로 몸을 닦아주는 것도 도움이 돼요. 하지만 얼음찜질이나 찬물 목욕은 오히려 역효과를 낼 수 있어요.

🔹4) 체온을 자주 확인하세요

아기 열이 오르거나 내리는 변화를 확인하는 것이 중요해요. 열이 100.4°F(38°C) 이상으로 올라가면 병원에 가는 것이 좋아요.

🔹5) 해열제는 언제 먹여야 할까요?

미열(99.6~100.3°F, 37.6~37.9°C) 정도라면 해열제를 바로 먹일 필요는 없어요. 하지만 열이 100.4°F(38°C) 이상 올라가거나, 아기가 많이 보채고 힘들어할 경우에는 해열제(아세트아미노펜 등)를 고려할 수 있어요. 해열제를 먹이기 전에 소아과 의사와 상담하는 것이 가장 안전해요.

4. 언제 병원에 가야 할까요?

아기가 열이 나도 가볍게 지나가는 경우가 많지만, 다음과 같은 경우라면 바로 병원을 방문해야 해요:

  • 100.4°F(38°C) 이상 열이 난 지 24시간 이상 지속될 때
  • 아기가 너무 축 처지고 힘이 없을 때
  • 열과 함께 발진이 나타날 때
  • 경련을 일으키거나 의식이 흐려질 때
  • 계속해서 토하거나 설사를 할 때
  • 숨쉬기 어려워 보이거나 기침이 심할 때

5. 너무 걱정하지 마세요

처음 아기가 열이 나면 많이 당황스럽죠. 저도 오늘 아기 머리가 뜨거워서 깜짝 놀랐어요. 하지만 체온을 재보니 심각한 수준은 아니었고, 계속 지켜보는 게 중요하다는 걸 알게 됐어요.

아기들은 면역력이 발달하는 과정에서 여러 번 열이 나요. 너무 걱정하지 말고, 아기의 상태를 세심하게 살펴보면서 필요한 조치를 취하면 된답니다!

 

이 글과 함께 읽으면 좋을 글

 

엄마가 아기보다 먼저 감기에 걸렸을 때,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요?

엄마가 아기보다 먼저 감기에 걸렸을 때,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요?며칠 동안 잠을 못 잤더니 결국 목감기에 걸리고 말았어요. 목이 부어서 말하기도 힘들고, 기침까지 나와서 너무 괴롭네요. 그

wnffle.com

 

 

반짝반짝 빛나는 장난감, 정말 괜찮을까? 생활 속 장난감 찾기!

반짝반짝 빛나는 장난감, 정말 괜찮을까? 아기를 키우다 보면 선물로 받거나 직접 구매한 소리 나는 장난감, 빛이 반짝이는 장난감을 한두 개쯤은 갖고 있게 됩니다. 하지만 이런 장난감이 너무

wnffle.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