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기주도_아기가 고형식 이유식을 거부할 때, 어떻게 해야 할까?
고형식을 거부하는 아기, 괜찮을까요?

이유식을 시작한 지 4개월이 지나 10개월이 되었는데도 아기가 고형식을 거부한다면, 많은 부모님들이 고민에 빠지게 될 거예요. 저도 처음에 이런 고민을 많이 했었어요. 제 아기는 6개월부터 미음과 죽 형태의 이유식을 시작했어요. 처음에는 잘 먹다가, 8개월이 지나면서 건더기가 있는 음식을 싫어하기 시작했죠. 그래서 재료를 많이 갈아서 죽처럼 주었는데, 지금도 아침과 점심은 거의 다 갈아진 죽을 주고 있어요.
하지만 저녁에는 자기주도식 이유식을 시작했어요. 주먹밥이나 과일 요거트, 찐 야채 등을 시도하면 아기가 처음에는 맛보지도 않고 혀로 밀어내거나 손으로 주먹밥을 부수기만 해요. 밥을 입에 넣어주면 더 강하게 거부하고 싫은 표정을 지을 때도 있죠. 아기가 고형식의 촉감을 싫어하는 걸까요? 그런데 왜 요거트나 사과, 딸기는 잘 먹는 걸까요? 자기주도식을 시작한 지 6일째인데, 계속 하다 보면 아기가 잘 먹게 될까요? 이런 고민은 많은 부모님들이 공감할 것 같아요.
왜 아기는 고형식을 거부할까요?
1. 새로운 촉감에 대한 적응
아기가 고형식을 거부하는 이유는 크게 두 가지로 나눠볼 수 있어요. 자기주도 이유식을 시작한 아기들은 처음에는 음식을 먹기보다는 손으로 탐색하는 데 집중해요. 특히 죽이나 미음을 주로 먹어온 아기들은 갑자기 단단한 고형식을 접하게 되면 당황할 수 있어요. 그럼 아기가 왜 고형식을 거부할까요?
2. 손으로 만지기만 하고 안 먹는 이유
- 새로운 촉감이 낯설어요.
- 이때는 음식을 탐색하는 과정이에요.
- 아기의 씹는 근육이 아직 발달 중이라 자연스럽게 이런 반응을 보일 수 있어요.
3. 고형식을 입에 넣어줘도 뱉는 이유
- 혀로 밀어내는 건 정상적인 반응이에요.
- 아직 씹는 법을 배우는 과정이에요.
- 아기는 여전히 액체 위주의 음식을 선호할 수 있어요.
언제쯤 아기가 고형식을 잘 먹을까요?
자기주도 이유식은 아기마다 적응 속도가 달라요. 대부분의 아기들이 24주 정도가 지나면 조금씩 고형식을 먹기 시작해요. 하지만 경우에 따라 23개월이 걸리기도 하므로 부모가 너무 급하게 서두를 필요는 없답니다. 중요한 것은 꾸준히 아기에게 다양한 음식을 노출시키는 거예요.
고형식에 적응하는 팁!
✔ 음식을 손으로 탐색하는 과정도 중요한 학습이에요.
✔ 다양한 식감을 경험하게 해 주세요.
✔ 먹지 않아도 계속 노출하는 것이 핵심이에요.

자기주도 이유식과 숟가락 사용, 어떻게 해야 할까?
"이러다 숟가락 사용을 안 하게 되는 건 아닐까?" 걱정하는 부모님들이 많아요. 하지만 자기주도 이유식은 아기의 감각 발달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너무 걱정하지 않아도 돼요. 그럼 자기주도 이유식과 숟가락 사용을 어떻게 병행할 수 있을까요?
자기주도 먼저? 숟가락 먼저?
✅ 자기주도를 먼저 시작해도 괜찮아요! 손으로 음식을 탐색하는 과정도 중요하니까요.
✅ 하지만 숟가락도 함께 노출하는 것이 좋아요.
숟가락 사용 연습하는 방법
숟가락 사용은 아기에게 중요한 학습 경험이에요. 너무 급하게 서두르지 말고 아기에게 자연스럽게 숟가락을 익힐 수 있도록 도와주세요.
✔ 처음에는 내가 숟가락을 떠서 아기 손에 쥐어줘요.
✔ 아기가 숟가락을 입으로 가져가면 칭찬해주세요!
✔ 요거트처럼 쉽게 뜰 수 있는 음식을 숟가락에 올려두고, 아기가 직접 잡아보게 해요.
✔ 숟가락 사용은 12~18개월쯤 본격적으로 시작되니, 너무 조급해하지 않아도 돼요.
자기주도 이유식, 꾸준히 하다 보면 아기가 잘 먹을까요?
지금은 자기주도 이유식을 시작하면서 손으로 먹는 과정도 충분히 즐기게 해주세요. 아기가 조금씩 고형식에 적응하고 숟가락 사용도 함께 배울 수 있도록 틈틈이 시도해 주세요. 아기의 식습관은 시간이 걸리지만, 꾸준히 노출하고 인내심을 가지는 것이 가장 중요하답니다. 🥄✨
이 글을 읽고 부모님들이 아기의 이유식 과정을 조금 더 이해하고, 아기가 고형식에 적응할 수 있도록 돕는 데 도움이 되길 바랄게요! 😊
이 글과 함께 보면 좋은 글
아기 간식, 언제부터 줘야 할까? 좋은 간식 고르는 법까지!
아기 간식, 언제부터 줘야 할까? 좋은 간식 고르는 법까지!아기를 키우다 보면 “간식은 언제부터 줘야 할까?“라는 고민이 생기죠. 저도 이유식을 잘 안 먹는 아기를 키우다 보니, 9개월쯤부터
wnffle.com
이유식 도중 아기가 보이는 다양한 행동과 그 이유
이유식 도중 아기가 보이는 다양한 행동과 그 이유이유식을 먹는 동안 아기는 손가락을 빨거나, 귀를 만지거나, 코를 비비거나, 심지어 다리를 막 움직이는 등 다양한 행동을 보일 수 있습니다.
wnffle.com
'육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기 구강 탐색기: 빨기 욕구는 언제 줄어들까요? 장난감을 빨기만 할 때 (1) | 2025.03.28 |
---|---|
아기 귀 중이염: 증상, 원인, 치료 및 예방 (0) | 2025.03.28 |
아기 열이 날 때 꼭 알아야 할 대처법 – 온도계 비교, 목욕, 옷 선택, 약 복용 가이드 (2) | 2025.03.22 |
아기의 정상 체온과 열의 기준, 열이 날때 증상 (1) | 2025.03.22 |
엄마가 아기보다 먼저 감기에 걸렸을 때,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요? (1) | 2025.03.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