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기 열이 날 때 꼭 알아야 할 대처법 – 온도계 비교, 목욕, 옷 선택, 약 복용 가이드
아이가 열이 날 때, 부모라면 누구나 걱정이 되죠. 오늘은 우리 아이가 열이 나면서 고민했던 점들을 정리해서, 열이 날 때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지 공유해볼게요.
아이가 열이 날 때, 어떤 온도계가 정확할까?
우리 집에는 비접촉식 온도계가 있는데, 이마로 재면 온도가 너무 낮게 나오더라고요. 그래서 귀로 재는 타입을 다시 샀는데, 그제야 아이가 열이 난다는 걸 확인할 수 있었어요.
➡ 정확한 체온을 측정하는 방법
- 귀 체온계: 가장 정확한 방법 중 하나지만, 올바르게 사용해야 해요. 귓속이 막혀 있거나 측정 각도가 잘못되면 오차가 생길 수 있어요.
- 직장 체온계(항문 측정): 가장 정확하지만, 아이가 불편해할 수 있어서 주로 병원에서 사용해요.
- 구강 체온계: 4세 이상 아이들에게 적합해요.
- 비접촉식(이마) 체온계: 편리하지만 환경 온도에 따라 오차가 클 수 있어요.
💡 TIP: 한 가지 방법만 믿지 말고, 여러 방법으로 체온을 재보는 게 좋아요!
아이가 열이 날 때 목욕해도 될까?
목욕시키면 열이 더 날까 봐 걱정되지만, 미지근한 물로 씻겨주는 건 오히려 도움이 돼요.
✔ 뜨거운 물은 ❌ ✔ 찬물도 ❌ ✔ 미지근한 물(36~37도)이 좋아요!
목욕 후에는 물기를 바로 닦아주고, 땀이 나지 않도록 얇고 가벼운 옷을 입혀야 해요.
아이가 열이 날 때, 잘 때 어떻게 입힐까?
저는 봄, 여름 초기지만 반팔에 바지가 없는 수트를 입히고 재웠어요. 그리고 에어컨 온도를 평소보다 1도 더 낮췄어요.
➡ 열이 날 때 옷 입히는 법
- 땀을 흘리게 하면 안 돼요! 너무 두껍게 입히면 오히려 열이 빠지지 않아요.
- 가볍고 통기성이 좋은 옷을 입혀요.
- 방 온도는 22~24도가 적당해요.
- 에어컨이나 선풍기는 직접 아이에게 닿지 않도록 조절해요.
💡 얇게 입히고 자도 괜찮아요! 땀이 차지 않도록 도와주고, 아이가 더 편하게 잘 수 있어요. 단, 손발이 너무 차갑지 않도록 온도를 조절해 주세요.
열과 변비는 관련이 있을까?
오늘 우리 아이가 대변을 보지 않았는데, 혹시 이게 열과 관련이 있을까 궁금했어요.
➡ 열이 날 때 변비가 생길 수도 있어요.
- 열이 나면 체내 수분이 부족해질 수 있어서 변이 딱딱해질 가능성이 있어요.
- 아이가 컨디션이 안 좋으면 장운동이 느려질 수 있어요.
- 이럴 땐 충분한 수분 섭취가 중요해요! 모유나 분유, 물을 자주 주는 게 좋아요.
하지만 열과 함께 심한 복통이 있거나, 배가 단단해 보인다면 병원에 가보는 게 좋아요.
약을 먹이고 다음날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
아이가 열이 난다고 무조건 해열제를 먹일 필요는 없어요. 하지만 38.5도 이상이면 해열제를 먹이는 게 좋아요.
✔ 해열제 사용법
- 아이 체중에 맞는 용량을 확인해요.
- 해열제는 4~6시간 간격으로 사용 가능해요.
- 해열제를 먹인 후에도 아이 상태를 계속 확인해야 해요.
다음날도 열이 지속된다면?
- 38도 이하이고 아이가 잘 놀면 경과를 지켜봐요.
- 38.5도 이상이 계속된다면 병원 방문을 고려해요.
- 열과 함께 경련, 탈수 증상(오줌 양 감소, 입이 마름)이 있다면 바로 병원으로 가야 해요.
아이가 열이 나도 잘 노는 이유는?
우리 아이도 열이 났는데도 불구하고 평소처럼 잘 놀았어요. 아이들은 몸에 열이 나도 본인이 아픈 걸 잘 인식하지 못할 때가 있어요.
➡ 그래도 이런 증상이 있다면 주의하세요!
- 열이 나면서 축 처진다면
- 평소보다 너무 보채거나, 지나치게 조용하다면
- 눈이 흐려 보이거나, 반응이 느리다면
이런 경우에는 열이 낮아져도 병원에 가보는 게 좋아요.
아이가 열이 나면 당황스럽고 걱정되지만, 차근차근 대처하면 큰 문제 없이 지나갈 수 있어요. 모두 걱정하지말고 제대로 대처합시다.
이 글과 함께 읽으면 좋은 글
아기의 정상 체온과 열의 기준, 열이 날때 증상
아기의 정상 체온과 열의 기준, 열이 날때 증상오늘따라 아기 몸이 뜨겁고, 머리도 따끈따끈한 것 같아서 체온을 재봤어요. 98.8°F(37.1°C)로 평소보다 살짝 높은 편이더라고요. 미열일까 싶
wnffle.com
엄마가 아기보다 먼저 감기에 걸렸을 때,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요?
엄마가 아기보다 먼저 감기에 걸렸을 때,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요?며칠 동안 잠을 못 잤더니 결국 목감기에 걸리고 말았어요. 목이 부어서 말하기도 힘들고, 기침까지 나와서 너무 괴롭네요. 그
wnffle.com
'육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기 귀 중이염: 증상, 원인, 치료 및 예방 (0) | 2025.03.28 |
---|---|
자기주도_아기가 고형식 이유식을 거부할 때, 어떻게 해야 할까? (0) | 2025.03.22 |
아기의 정상 체온과 열의 기준, 열이 날때 증상 (1) | 2025.03.22 |
엄마가 아기보다 먼저 감기에 걸렸을 때,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요? (1) | 2025.03.22 |
반짝반짝 빛나는 장난감, 정말 괜찮을까? 생활 속 장난감 찾기! (0) | 2025.03.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