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육아

아기 귀 중이염: 증상, 원인, 치료 및 예방

by happymind12 2025. 3. 28.
반응형

아기 귀 중이염: 증상, 원인, 치료 및 예방

아기가 감기에 걸렸을 때 병원에 가보니 중이염이 있다는 말을 들었어요. 사실 저는 아이가 감기에 걸려 기침과 콧물이 심해서 병원을 찾았는데, 의사가 귀까지 살펴보더니 2차 감염으로 인해 중이염이 생겼다고 하더라고요.

만약 병원을 안 갔다면 알지 못했을 수도 있겠다는 생각에 좀 놀랐어요. 그리고 평소에 목욕할 때 손수건에 물을 묻혀서 귓바퀴나 귓속을 조심스럽게 닦아줬는데, 혹시 그것도 영향을 미쳤을까 싶어 미안한 마음도 들었어요. 이번 기회에 아기 중이염에 대해 좀 더 알아보고자 해요.

 

아기 중이염이란?

중이염은 귀 안쪽 중이에 염증이 생기는 질환이에요. 특히 면역력이 약한 아기들은 감기나 비염 후에 중이염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요. 귀 안쪽에 고인 분비물이 세균이나 바이러스에 감염되면서 염증이 생기고, 심하면 고막이 붓거나 터질 수도 있어요.

아기 중이염 증상

아기는 말을 못 하니, 귀가 아프다고 직접 표현할 수 없어요. 그래서 부모가 중이염을 의심할 만한 몇 가지 신호를 알아두는 것이 중요해요.

  • 귀를 자꾸 만지거나 당길 때
  • 평소보다 보채고 짜증이 많을 때
  • 밤에 자주 깨거나 잘 못 잘 때
  • 열이 날 때
  • 귀에서 분비물이 나올 때
  • 소리에 반응이 둔해질 때
  • 젖병을 빨거나 씹는 것을 싫어할 때 (귀 안쪽의 압력이 변하면서 통증을 느낄 수 있어요)

이런 증상이 있다면 병원에서 귀를 직접 확인해보는 것이 좋아요.

중이염의 원인

  1. 감기 후 2차 감염: 감기로 인해 코와 귀를 연결하는 이관이 부어 막히면서 균이 증식하기 쉬워요.
  2. 수유 자세: 눕혀서 수유하면 젖이나 분유가 귀로 흘러들어갈 수 있어요.
  3. 알레르기: 알레르기가 있는 아기는 비염과 함께 중이염이 잘 생길 수 있어요.
  4. 수영이나 목욕 후 물이 귀에 들어갔을 때

아기 중이염 치료

이번에 병원에서 아목실린(Amoxicillin) 항생제를 처방받았어요. 하루에 두 번, 5ml씩 10일 동안 먹이라고 하더라고요. 아기는 약을 잘 안 먹으려 하기도 해서 저는 우유에 섞어서 먹이고 있어요.

아목실린이란?

아목실린(Amoxicillin)은 페니실린 계열의 항생제로, 세균 감염을 치료하는 데 사용돼요. 특히 중이염, 기관지염, 폐렴 등 호흡기 감염이나 세균성 감염 치료에 많이 처방돼요. 비교적 안전한 항생제로 알려져 있지만, 일부 아기는 복통, 설사, 피부 발진 등의 부작용이 있을 수 있어요.

항생제 잘 먹이는 방법

  1. 우유나 주스에 섞어 먹이기 (단, 의사에게 확인 후 가능하면 섞기)
  2. 시럽 형태라면 아기용 스포이트나 약 먹이는 컵을 사용하기
  3. 아기가 좋아하는 달콤한 음식과 함께 주기
  4. 밥 먹기 직후보다는 공복 상태에서 먹이는 것이 흡수가 더 좋아요
  5. 약을 먹은 후 바로 물을 조금 마시게 해 뒷맛을 없애주기
  6. 정해진 기간 동안 꾸준히 복용하기 (중간에 멈추면 세균이 완전히 제거되지 않아 재발할 수 있어요)

중이염 예방하는 방법

  • 감기에 걸리지 않도록 손 씻기 습관을 들여요.
  • 젖병 수유 시 아기를 너무 눕혀 먹이지 않아요.
  • 목욕 후 귀에 물이 들어가지 않도록 조심해요.
  • 콧물이 많을 때는 코를 자주 닦아주고, 코막힘이 심하면 식염수를 이용해 코 세척을 해줘요.
  • 면역력을 높이기 위해 균형 잡힌 식사를 하고 충분한 수면을 취할 수 있도록 해요.

결론

아기가 중이염에 걸리면 아프다고 말하지 못해도 행동을 통해 신호를 보내요. 부모가 이러한 신호를 미리 알아차리고 병원에서 진료를 받으면 큰 문제 없이 치료할 수 있어요. 특히 감기 후에 중이염이 올 가능성이 크니, 감기 증상이 오래 지속되거나 귀를 만지는 행동이 잦아지면 병원에 방문해보는 것이 좋아요. 그리고 항생제를 처방받았을 경우, 정해진 기간 동안 꾸준히 복용해야 재발을 방지할 수 있어요. 아기 귀 건강을 위해 평소에 예방하는 습관도 함께 신경 써야겠어요!

 

이 글과 함께 읽으면 좋은 글

 

 

아기의 정상 체온과 열의 기준, 열이 날때 증상

아기의 정상 체온과 열의 기준, 열이 날때 증상오늘따라 아기 몸이 뜨겁고, 머리도 따끈따끈한 것 같아서 체온을 재봤어요. 98.8°F(37.1°C)로 평소보다 살짝 높은 편이더라고요. 미열일까 싶

wnffle.com

 

 

아기 열이 날 때 꼭 알아야 할 대처법 – 온도계 비교, 목욕, 옷 선택, 약 복용 가이드

아기 열이 날 때 꼭 알아야 할 대처법 – 온도계 비교, 목욕, 옷 선택, 약 복용 가이드 아이가 열이 날 때, 부모라면 누구나 걱정이 되죠. 오늘은 우리 아이가 열이 나면서 고민했던 점들을 정리

wnffle.com

 

반응형